본문 바로가기
Pediatrics😄

심한 복통을 호소하는 아이, 장중첩증의 신호?

by Jped 2022. 11. 16.
728x90

흔히 배가 아픈 아이를 단순히 장염에 걸렸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배가 아픈 원인은 다양한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단순한 바이러스 장염과 변비 때문에 복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창자가 막히는 장중첩증이나 맹장염으로 인해 심한 복통을 호소할 수도 있다. 장중첩증이나 충수돌기염은 치료가 늦어지면 합병증이 심하게 오고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응급질환으로, 초기 증상에 대한 감별과 빠른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나 2살 미만의 영유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장중첩증의 경우에는, 아이가 증상을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복통의 특이적 양상과 동반증상의 유무를 면밀히 살펴 늦지않게 병원을 찾아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중첩증이란?

장중첩증(Intussusception)이란, 장의 한 부분이 망원경을 접을 때처럼 장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간 것을 말한다. 주로 소장의 끝부분(회장)이 대장의 시작부분(맹장)으로 말려들어가는 경우가 95% 이상으로 가장 흔하다. 장이 말려들어가 장중첩증이 생긴 부위는 기계적 폐색이 발생하고, 장운동과 일치하는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멀쩡하게 잘지내던 아이가 갑자기 자지러듯이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며 울고, 다리를 배위로 끌어당기는 모습을 보인다. 1~2분간 발작후에 5~15분간의 무증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며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이 시작되고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면, 딸기잼 모양의 피뭍은 끈적끈적한 대변을 보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이는 특징적인 장중첩증의 대변 양상으로, 발견된다면 보호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놓거나 대변이 뭍은 기저귀를 병원에 가져와 의료진에게 보여주는 것이 좋다. 진단이 늦어지고, 말려들어간 장으로 인해 장간막의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기고 장 괴사가 일어나게 되면 심한 탈수와 쇼크에 빠지게 되고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회장이 맹장으로 말려들어간 장중첩증의 모습 (출처 - Elsevier)

 

728x90

 

진단과 치료 

위와 같은 특징적인 증상과 소견을 보이는 아이가 장중첩증인지 진단하기 위해서는 복부초음파 검사가 필수적이다. 복부 X-ray 검사로 장관 내의 가스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나 장중첩증을 직접 확인하기는 어렵다. 초음파를 통해 장중첩증이 진단되었다면, 빠르게 정복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이의 쇼크의 징후를 보이거나, 장 천공, 장 괴사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 것이 아니라면 공기나 조영 정복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는 방사선 투시하에 항문을 통해 공기나 조영제를 직접 넣어 장관 내 압력을 순간적으로 증가시켜 중첩된 장을 풀어주는 방법이다. 90%이상의 성공률을 보이나, 정복술 시행 과정에서 장 천공 등의 합병증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정복술 후에도 장중첩이 재발될 수 있어 시술후 24시간 정도 경과관찰이 필요하다. 쇼크가 의심되거나 장괴사, 천공, 복막염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것으로 의심되면 수술을 시행한다. 외과적 도수 정복이 되지 않거나 괴사가 심할경우 장절제가 필요할 수도 있다. 장 절제술 후에는 재발이 거의 없다.   

 

복통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나 소아는 증상의 표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장중첩증이나 맹장염과 같은 응급 질환의 진단과 치료가 늦어질 경우가 많다. 각 질환의 복통의 특징을 조금씩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올바른 대처로 우리 아이의 건강을 잘 지킬 수 있길 바랍니다:)

 

 

소아 변비 증상과 진단, 치료 방법

살면서 잘먹고 원활히 배변활동 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규칙적이고 원활한 배변활동은 평생의 건강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지만, 특히나 영유아의 배변활동의 변화는 보호자의 지속적

pediatrics.tistory.com

 

 

 

소아 장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소아청소년이 병원을 찾게 되는 가장 대표적인 질병 2가지를 꼽자면 감기와 장염일 것이다. 보통 건조하고 쌀쌀한 겨울에는 호흡기 질환이 유행하며 감기 환자가 많아지고, 덥고 습한 여름에는

pediatrics.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