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thers🏥

어지러우면 빈혈? 빈혈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 바로 알기

by Jped 2022. 11. 25.
728x90

흔히 어지러운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어르신들 중에 빈혈이 있어 왔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다. 그러나 이는 어지럼증을 빈혈의 주 증상으로 잘못 이해한 것으로, 빈혈과 어지럼증은 그 개념이 완전히 다르며 어지럼증으로 빈혈이 진단되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이에 대해 구분하여 알아야 한다. 어지럼증이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주로 귀나 소뇌에 이상이 생기거나 노화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귀 안의 반고리관에 존재하는 이석이 잘못 위치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이석증의 경우에는, 주위 사물이나 자신이 빙빙 도는 것처럼 느끼는 현훈의 형태로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또한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만성 중이염으로 인해 현훈이 발생할 수 있다. 뇌졸증으로 소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저혈당, 실신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빈혈은 헤모글로빈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 

빈혈이란 우리 몸의 피가 부족한 것으로, 정확하게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혈색소)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이다.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적혈구 속에 들어 있는 색소 단백질로, 적혈구 및 혈액이 붉은 빛깔이 나도록 하며 혈액을 통해 산소를 운반하여 우리 몸의 각 조직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이 부족하면 뇌, 심장, 근육, 위장 등 우리 몸의 각 장기로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하여 정도에 따라 여러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주 증상은 허약감과 피로이다. 그러나 빈혈이 지속되면 몸이 적응하여 큰 불편감을 못느끼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모호한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를 통해 헤모글로빈 수치를 확인하여야 한다.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출처 - MedicineNet)

 

통상적으로 헤모글로빈 수치가 성인 남자의 경우 13g/dL, 성인 여자의 경우 12g/dL, 임신부는 11g/dL 이하인 경우를 빈혈로 정의한다. 수치가 낮아질수록 피로감과 기력저하 등의 증상은 심해지는데, 어지럼증이 발생할 정도로 심한 빈혈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7g/dL 이하로 내려가야 생긴다. 또한 빈혈로 어지럼증이 생길 정도라면, 호흡 곤란이나 의식저하 등으로 이미 위중한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이전에 건강했던 사람이 어지럽다는 이유로 병원을 방문할 때, 빈혈이 있다고 혼돈해서 말하는 것은 전혀 맞지가 않다. 

 

728x90

 

다양한 빈혈의 원인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감소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가장 흔한 원인은 철 결핍성 빈혈이다. 이는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철분이 부족하여 빈혈이 생기는 것으로, 우리 몸에서 철분의 손실이 증가하거나 섭취가 감소하여 생긴다. 월경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위장관 출혈이 생기거나, 헌혈을 너무 자주 했을 경우 철분의 손실이 증가한다. 채식주의자의 경우,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철분이 부족한 식사를 했을 경우 철분의 섭취가 감소하게 된다. 수치가 7g/dL 이하로 심할 경우에는 수혈을 고려하며, 원인을 교정하고 구강 철분 보충제를 복용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이외에 혈구세포의 DNA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비타민 B12나 엽산이 결핍되어 발생하는 거대적아구성 빈혈, 골수의 조혈시스템의 이상으로 적혈구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는 경우, 만성 질환에 의한 염증으로 조혈이 충분히 되지 않는 경우, 물리적 충격이나 면역학적 원인에 의해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성 빈혈, 신장 질환으로 적혈구 생성 인자가 부족한 경우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빈혈이 생길 수 있다. 빈혈은 보통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다른 질환에 동반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각의 질환과 원인에 대한 복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이석증, 원인과 치료에 대해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어지럼증으로 불편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일상에서 단순한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어지럼증을 겪기도 하고, 감기나 장염과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동반 증상으로

pediatrics.tistory.com

 

 

상황에 따른 멀미약 추천과 복용법 및 부작용 (이지롱액, 토스롱액, 뱅드롱액, 보미롱산, 디노타

평소 멀미로 고생하는 사람들이라면, 장시간 배를 타거나 먼 거리를 차로 이동할 경우 반드시 미리 구비해두어야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멀미약이다. 멀미는 외부 움직임에 대해 눈으로 들어

pediatrics.tistory.com

 

728x90

댓글